해상발사형 탄도미사일 이야기가 나오길래.......시류에 편승한 기사로서~


(사진은 2011년 3월 11에 시험발사되었던 'Dhanush'의 발사장면)
인도군은 2012년 10월 5일 금요일 뱅갈만에 위치한 오디샤(Odisha) 해안에서 'Dhanush' 해상발사형 탄도미사일의 시험발사를 수행하였고, 시험발사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발사시각은 오전 11:25분으로서 정기적인 훈련의 일환으로 인도 전략군사령부 인원들에 의하여 INS Subhadra(P-51)함에서 발사되었습니다.
'Dhanush' 탄도미사일의 존재는 1998년에 처음으로 발표되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2000년 4월에 있었던 첫 시험발사는 실패로 끝나고 말았지요. 이후 2년의 기간동안 두번의 시험을 성공적으로 거친 후, DRDO(국방연구개발기구)는 2002년 9월 해상시험을 완료한 후 이 미사일의 인도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 이후 DRDO는 2004년 10월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물에서 특별히 고안된 캐니스터를 통하여 Dhanush의 첫 수중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다음 달 INS Subhadra함정에서 재차 시험발사를 성공하였습니다.
추가적인 시험발사는 2007년 3월에 실시되었으며, 이 추가발사로 인하여 해군은 INS Subhadra(P-51)과 INS Suvarna(P-52)함을 위한 미사일을 요구하였다고 합니다.
'Dhanush' 탄도미사일은 지상발사형인 'Prithvi' 탄도미사일을 해상형으로 개조한 것으로서 사거리 350km/탄두중량 500kg를 가진 단거리탄도미사일입니다.
이 미사일은 길이 8.53m, 직경 0.9m이며 추진체계는 1단 액체연료로켓추진방식입니다.(이는 'Prithvi-2' 지대지탄도미사일을 개량한 것이고, 차후에 'Prithvi-3' 미사일를 베이스로 새로운 개량형을 내놓는다면 1단 고체연료로켓추진방식으로 변경되겠지요.)
인도언론에 따르면 'Dhanush'이 지상목표물 타격뿐만 아니라 해상의 함정목표물도 타격가능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ASBM의 역할을 수행가능하다는 소리인데,, 좀 의심스럽기는함.)
아래 사진들은 'Dhanush' 해상발사형 탄도미사일의 테스트 함정인 INS Subhadra(P-51), INS Suvarna(P-52)의 사진과 발사대모습입니다.(시험발사함정은 Sukanya급 초계용 코르벳으로서 1990년 취역한 함정인데 이후 'Dhanush' 탄도미사일 발사를 위하여 함미의 헬기데크 부분을 마개조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P.S) '현무' 탄도미사일을 해상발사형으로 개량하자는 애기가 어디선가 나와서 올려보았습니다. 다만 그리 권장할 방법은 아닌 듯함..
덧글
수상함에서 발사하기에는 좀 무리가 따르는 미사일 같습니다. 사거리가 길면 좋은데 그것도 아니고..
미사일을 제대로 VL이나 다른 방식으로 탑재하려면 4천톤급 카신급으로는 어림도 없을테고 8
천톤급 구축함 정도는 뽑아줘야 하는데... 문제는 인도가 그 정도 할 수 있으냐겠죠. 잠수함 탑
재는 말할 것도 없구요.
전체적인 크기는 우리가 추구하는 KDX-2A와 비슷한 제법 덩치가 큰 함정이지요.
그것과 별개로 대형수상함을 또 계획중인것 같고...
유사시 핼기데크에 수대를 실었다가 발사하는(발사대고정장치에 힘줘서 발사시는 분사구가 선체외부로 나가개하고...선체측면보강을 해주는 식.....물론 그이전에 콜드런치가가 가능해지갰죠...)방향도 생각해 볼수 있갰죠.....물론 망상입니다.
만든 울산/포항중 하나 갈아만들려나..?
이전에 전술함대지유도탄사업에서 해군이 합참의 탄도미사일(BM)안에 경기를 일으킨 것을 보면, 적어도 해군은 탄도미사일보단 초음속함대지(함)미사일을 더욱 원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상적으로 운영할생각이 있다면 VLS 형태로 캘커타급보다 더 큰 규모의 전투함에 실어야 겠지요.
울산급의 배다른 형제 정도?
본의아니게 인도의 핵확산에 일조한 한국 조선업계이군요..-O-;;
그렇게 의미있는 전력인가요?
저거 제압하려면 원거리에서 핵한방 날리는게 속이 시원할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