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KNTDS 밀리학개론

KNTDS(해군전술자료처리체계)-함정무기체계와 육상전탐감시소간에 실시간 전술자료교환을 통하여 해상전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주요함정 및 기지에 설치운용되는 시스템

기본적으로 전술데이터링크라는 것의 파악이 쉬우려면 관련용어가 뭘 뜻하는가를 좀 알고봐야됨.


LINK-11(TADIL A): 반이중전송방식, 비화링크(암호화가 되어있다는 소리) 재밍대항능력 부족, HF, UHF 주파수사용하여 비가시선 정보전달 가능,HF시 300NM /UHF시 25NM(surface-to-surface) 150NM(surface-to-airface), 데이터처리속도가 느림.

LINK-11(TADIL B): 점대점의 전이중 전송방식, 지상기지간 비화통신링크로 사용,  VHF, 유선망 사용, 한국공군의 MCRC와 연동

LINK-16(TADIL J): 시분할다중접속방식(TDMA)의 데이터 링크, UHF 주파수사용으로 주로 가시선내 데이터링크, 데이터전송속도가 상당히 빠르고 암호화(비화)성능 우수, 재밍대항능력 보유, 음성보안유지 가능

LINK-14: 전술데이터 처리능력을 가진 함정에서 전술데이터 처리능력이 없는 함정으로 감시정보를 전달하기위해 설계된 HF 브로드캐스트형 텔리타이프데이터링크, LINK-14 는 LINK-1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부대에 전술표적정보를 제공.

ISDL(intersite data link): 전탐감시대, 함대사 등 육상부대간 표적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하는 지점대지점의 유선통신 데이터링크

TIBL(tactical information broadcasting line): KNTDS 미설치 육상부대에 표적정보를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방식



이제 KNTDS 관련 그림을 보면 대략 이해가 될 것임..

대충 설명을 하자면 LINK-11 이 설치된 플랫폼에 경우 KNTDS와 상호 연동이 가능하고, 2차 KNTDS 사업에 따라 해군의 거의 모든 작전함에 LINK-11이 설치되었고, P-3C 도 LINK-11 이 있음. 이외에 전탐감시대나 (소규모)육상기지에 경우 구지 무선망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ISDL 이나 TIBL이 운영됨.
해군의 작전함중에는 유일하게 KDX-3 에만 LINK-16이 운용되고 있음. 또한 KNTDS는 공군의 MCRC와도 연동이 되는데 이는 해군의 ISDL망과 공군의 LINK-11(TADIL B)망 사이의 블랙박스라는 장치를 통하여 연동이 됨요..

그럼 이런 KNTDS가 딱히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느냐면,, 지금수준에서는 걍 항적정보교류 정도?



KNTDSD에 대한 기타...

LINK-11 설치되있으면 이지스함의 CEC교전능력으로 KD-2의 대공무기체계랑 연동이 된다?
헛소리임... LINK-11 은 데이터전송속도가 느리므로 빠른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하여 실시간 이동궤적을 제공하기에는 불충분함. 물론 대공레이더가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도 MCRC와 연동이 되므로 아군/적군항공기에 대한 항공관제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빠르게 접근하는 대함미사일의 궤적을 업데이트하기에는 전송체계가 느리고, 설사 LINK-16이 설치된다고 해서 CEC능력이 바로 부여되는것이 아님( CEC를 위해서는 별로의 시스템이 필요함)

그럼 KNTDS로 보여지는 적함의 항적정보를 파악하여 대함미사일발사가 가능한가?
가능함.  대함탐색레이더의 범위 밖에 있는 적함의 경우에도 해군의 전탐감시소나 다른 함정에서 파악한 정보를 통하여 대함유도탄의 발사가 가능함.  

E-737에서 파악한 적함의 정보가 KNTDS에 연동이 될수 있는가?
현재로서는 불가능함. E-737 은 LINK-16  체계를 사용하므로 해군의 KNTDS와 직접연동이 될 수 없음. 또한 현재의 공군 MCRC도 LINK-16 체계를 쓰지 않으므로 E-737이 파악한 정보를 직접 받을 수 없음. 따라서 KNTDS가 공군 MCRC와 연동이 된다고 해도 E-737 이 보내는 데이터정보를 연동할 수가 없음.(,미군의 조기경보기와의 연동을 하는 ADSI망(MCRC와도 연동됨)에서 E-737과도 통합이 이루어지는 지는 확실치 않음. E-737사업을 통하여 MCRC의 데이터링크체계도 바꿀계획이 있음)

그럼 E-737은 해군에 도움이 되지 않는가?
현재는 KDX-3가 LINK-16 을 쓰므로 E-737과 직접 연동이 가능함.

PS. LINK-16에서 보내지는 정보라도 그것이 중간에 LINK-11을 경유하기 시작하면 정보처리속도가 느려짐. 한반도에 대한 방공망의 경우에는 LINK-16체계나 이에 준하는 체계로 모두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실시간의 통합 방공망운영은 사실상 힘듬. 고로 데이터링크가 연결이 되어있다고만 해서 만사OK가 아니라는 소리~~


덧글

  • ... 2022/06/30 14:30 # 삭제 답글

    12년 지난 글이지만...데이터링크 연동은 각 체계가 어떤 단말을 가지고있어서 직접연동이 가능한가도 중요하지만, 중간중간의 데이터링크끼리 연결해주는 포워더도 중요합니다.
    당장 MCRC가 FPS-117같은 센서를 직접 돌리는게 아니라 원격의 센서를 이용하는것처럼, 필요한 정보만 선별적으로 계획해서 각기 다른 데이터링크와 공유되게끔 해놓았지요.
댓글 입력 영역


메모장

free counters